정갑윤 부의장,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 관심과 지원필요”

정갑윤 부의장,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 관심과 지원필요”


정갑윤 국회부의장은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 참석해 “광복 70

주년을 맞이한 올해를 민족정기를 되살리는 원년으로 삼고, 해외 독립운동 유적지들에 대한 관

심과 지원을 강화해 가자”고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연해주 지역 항일운동 탐방을 소개하면서, 재러시아 항일운

동의 대부인 최재형 선생의  시신이 어디에 묻혀 있는지도 모르는 점에 대해 안타까움을 토로하

고, 또한 헤이그 특사 3인 중 한 명인 이상설 선생의 유허비에 그의 호(號)인 보재(溥齋)의 ‘재’자

가 ‘ㅓ의 ㅣ’로 잘못 표시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우리 정부의 관리와 관심을 호소했다.

 

정 부의장은 “이 외에도 '이육사 순국지', 카자흐스탄의 ‘홍범도 장군 기념공원’, 미주 독립운동의

산실인 '뉴욕한인교회' 등 해외소재 독립운동 역사들이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사라지고 있다”면서

“일제강점기 시대,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쳐 희생하셨던 수많은 독립유공자 분들과 유적지

를 발굴하고, 보존해 미래세대에게 물려주는 것은 우리들에게 내려진 天命”임을 강조했다.

한편 정 부의장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다시 한 번 뛰자’는 국민적 결의를 다지기 위해 정부에 대한

국민신뢰를 확고히 하는데 노력이 필요함을 말했다.


정 부의장은 최근 발표된 OECD의 보고서를 인용, 우리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도 34%, 사법제도

신뢰도 27%로 OECD회원국 평균 54%의 절반에 그치며 최하위권임을 지적했다.

이어 정 부의장은 “공자는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백성의 믿음’이라 했고, 미국의 미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신뢰야말로 부(富)를 창출하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말처럼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가 정부정책의 성공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 부의장은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우리사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거버넌스」에

대해 철저히 재점검하고, 그 동안 이뤄온 눈부신 경제발전과 더불어 사회 구성원간의 신뢰, 정부-

국민간 신뢰를 확고히 함으로써, 경제강국으로서의 위상과 함께 선진 시민의식이 균형을 이루는

명실상부한 선진 대한민국을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뉴스울산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