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규시 (子規詩)

자규시 (子規詩)
(단종은 관풍헌 동쪽에 있는 자규루
(子規樓)에 올라
자규시(子規詩)를 읊으며 한(恨)을 달랜다)
一自寃禽出帝宮 (일자원금출제궁)
한 마리 원통한 새가 되어 궁궐을 나와
孤身隻影碧山中 (고신척영벽산중)
짝 잃은 외로운 몸 푸른 산 중에 있네
假眠夜夜眠無假 (가면야야면무가)
밤마다 잠을 청하나 잠을 이룰 수 없고
窮恨年年恨不窮 (궁한년년한불궁)
수 없이 해가 지나도 한은 끝이 없어라
聲斷曉岑殘月白(성단효잠잔월백)
자규새 소리도 끊긴 뫼엔 달빛만 희고
血流春谷落花紅 (혈류춘곡낙화홍)
피 뿌린 듯 봄 골짜기 낙화만 붉었네라
天聾尙未聞哀訴(천롱상미문애소)
하늘은 귀가 멀어 슬픈 사연 듣지 못하니
何乃愁人耳獨聽(하내수인이독청)
어찌해서 수심 많은 내 귀만 홀로 듣는가
찬란한 이 봄날, 남들은 꽃놀이다 뭐다 다들 유쾌하게들 돌아치는 것 같은데 나만 ... 이라는 자괴감이 내면으로 파고드는
골뱅이족이 있다면 남들의 시선 거리낌없이 혼자서 가보실 만한 곳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어쩌면 보편적인 인간은 이타적이기보다 근원적으로 이기적인 존재, 따라서 철학자 쇼펜하우어는 나보다 팍팍하고 곤고
하게 살아가는 이웃을 보며 힘을 낼 수 있다고 갈파했습니다.
이이제이, 이독제독이라고 했던가요. 오랑캐는 오랑캐로, 독은 독으로 다스린다는 옛말도 있습니다.
심신을 삭이는 독 같은 고독의 감정은 결국 나보다 더 비통했던 한 시대의 역사적 인물을 만남으로써, 시간을 거슬러 올라
가는 여정을 통해 치유를 얻을 수 있다면 비약일까요?
관광버스로 승용차로 봄을 맞으러 남녘으로 남녘으로 내려가는 분답스런 인파의 물결을 등지고 강원도 영월에 있는 비운
의 왕, 단종의 릉을 찾아나선 발걸음은 한갓질 터입니다.
무거운 배낭을 부려놓고 열차 뒷칸 맨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덜커덩 덜커덩 이어지는 인내의 시간을 달려 영월역에 내려 장
릉 행버스 시간표를 올려다 봅니다. 낡은 버스 뒤꽁무니에 흙먼지를 일으키며 인적없는 시골길을 달리고 달려 ‘장릉’ 이란
팻말을 확인하곤 벙거지 모자를 뒤집어 덮어쓰고 내려 터벅터벅 걷습니다.
버려지다시피했던 장릉도 이젠 어딜가나 사람의 손길로 단장하고 가꾼 흔적이 역력할테고 역사적 슬픔까지도 관광객 유치
를 위해 리모델링한 세상인심이 씁쓰름할 것입니다.
익히 알려진 대로 12세에 보위에 오른 어린 왕 단종의 짧았던 제위는 물가에 아이 세워 놓은 듯 위태로웠을 것이고 결국 야
망과 야심의 포로였던 사나운 삼촌 수양대군에게 보위를 빼앗기고 이 곳 청령포로 위리안치됩니다.
폐위된 소년왕 단종은 산첩첩, 물첩첩 가로막힌 이곳 청령포의 노산대에 앉아 시름에 잠겨 서울 하늘에 두고온 정순 왕후
그리워 눈물로 지새우다 비운의 생애을 마감합니다.
유배지를 찾아 온 금부도사 왕방연의 ‘고운 님 여의옵고/ 물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야 / 울어 밤길 예놋다.’라는
시가 눈자위에 한 두방울 눈물을 부를 것입니다.
어린 왕 단종의 통한이 얼마나 깊었을까. 밤마다 소쩍새 울음이 되어 이산 저산 떠돌고 등 굽은 소나무들이 어린 왕이 만조
백관을 주재하는 어전의 모습을 빼닮아 나그네의 시름위에 시름이 더 할 테고
그대에게 가면/ 그대 아직도 날 알아볼까? /나 열다섯 꽃다운 /그때로 보여질까 ... 15살에 단종의 비가 되어 왕비였다가 추
락하여 18살에 노비신세가 되어 구걸과 염색으로 연명하다 82세로 한 많은 일생을 마감한 단종 왕비 정순 왕후의 넋이 날아
들어 골골이 아프게 새겨져 있을 것입니다.
울적한 심사를 안고 찾아든 길손에게도, 500 년 전 비운의 주인공의 막막한 심사가 그대로 전이되어 자신의 슬픔을 더 크나
큰 슬픔으로 덮고 천지를 뒤덮었을 고독으로 일신의 고독을 덮고 바위같은 절망으로 절망을 덮어 쓰러진 자 다시 땅을 짚고
일어설 용기와 힘을 얻어 돌아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류윤모 시인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