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긴급 군민지원금“효과 있었다”
울주군 긴급 군민지원금 빅테이터 분석 최종 결과 나와

지급 실시 10일만에 전체 지원금의 50% 사용, 5월말까지 90% 사용
5월 1주, 전년 동기 대비 약 25% 소비증가. 이후 하향 추세
대형마트 등 ‘마트·식료품’ 업종에서 가장 많이 사용. 소비 쏠림 현상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효과가 군민지원금 효과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울주군이 지난 4월 지급한 긴급 군민지원금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주군은 지난 3월 23일 전국 최초로 추진한 긴급 군민지원금(군민 1인당 10만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빅데이터 분석 최종 결과가 나왔다고 13일 밝혔다.
코로나19 위기경보를‘경계’에서‘심각’으로 격상한 2월 23일 이후 울산광역시 전체 구군은 전년 동기 대비 소비수준이 최대폭으로 감소한 뒤 전년 동기 소비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울주군 긴급 군민지원금이 지급된 4월 28일 이후부터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금(5월 13일) 이전까지 울주군의 소비는 타 지역보다 크게 상승해 전년 동기 소비수준을 넘어 최대 25%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주군 긴급 군민지원금은 지급 실시 10일 만에 약 50%(110억), 5월 말까지 약 90%(197억)가 사용되었으며, 5월 황금연휴 이전에 지급하여 5월 초 급격한 소비 상승 효과가 있었다.
긴급 군민지원금 사용패턴 분석 결과를 보면 10일 만에 약 50%(110억), 5월 말까지 약 90%(197억), 7월 말까지 99.2%(217억)가 사용되었다. 업종별로는 마트.식료품(55%), 요식(20%), 주유(5%), 편의점(4%) 등의 업종에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울주군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상권이 발달한 읍 지역에서 지원금이 많이 사용되었다. 상북면과 두동면, 두서면, 삼동면의 경우 인접한 언양읍에서 소비가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후 전국 및 울산광역시 타 지자체 소비는 상승한 반면 울주군은 긴급 군민지원금으로 상승된 소비수준보다 떨어졌다.
울주군은 이번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결론을 얻었다.
① 울주군의 경우 울산 4개구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매출 감소율이 낮아 울산 4개 구 지역보다 상권 규모 및 분포가 상대적으로 낮아 피해가 적었다.
② 긴급 군민지원금의 사용처가 마트.식료품(55%)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여 코로나19 이후 상대적으로 소비감소가 많은 요식, 학원, 가전.가구 등으로 소비가 옮겨갈 수 있는 업종제한의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③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지급 금액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소비 상승 효과가 낮은 것은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사용처가 광역 단위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울주군보다 상권이 잘 조성된 남구 등의 도심지역에서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에도 군민지원금을 지원할 경우 이번과 같이 울주군으로 지역을 제한해 효과 유출 방지가 필요해 보인다.
④ 울주군의 긴급 군민지원금 배포 이후 관내 경기 활성화를 위한 단기적 소비 매출효과는 크게 나타났으나 7월부터 전년 동기 수준 이하로 소비가 감소했다. 장기지속적인 경제회복 및 소비 매출 상승을 위한 중장기적 소비 촉진 지원책이 필요해 보인다.
이선호 군수는“이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된 긴급 군민지원금의 파급효과를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겠다. 더불어 다양한 분야에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행정을 실현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군정으로 군민 삶의 질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은 울주군의 공간정보 기반 스마트 행정 서비스인「공간다듬이」를 통해 실시했으며, 지급일로부터 5월 31일까지의 울주사랑카드 사용데이터와 신한카드·SKT 빅데이터를 활용했다.
울주군 긴급 군민지원금은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군민 1인당 10만원씩 선불카드(울주사랑카드)로 배부했다. 지원금은 4월 28일부터 지급했으며, 사용기한은 지급일로부터 7월 31일까지였다.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