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 항만출입시스템 크게 개선

웹(Web)방식을 통해 간편하게 출입신청 가능


울산항만공사(UPA, 사장 박종록)는 12억원을 투입하여 지난해 11월부터 부산, 인천, 여수광양 항만공사와 공동으로 추진한 『RFID기반의 항만출입체계 개선사업』이 완료되어 29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사업을 통해 울산본항 1, 2, 5, 7부두, 일반부두, 매암부두, 장생포부두 등 총 8개소에 전자출입증을 인식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었으며, 출입증을 발급받기 위해 방문자가 직접방문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출입허가신청 하던 기존방식에서 웹(Web)방식을 통해 간편하게 출입신청이 가능해졌다.


또한 항만을 출입할 때 이용하는 출입증도 종이출입증에서 RFID 방식의 전자칩이 삽입된 출입증으로 개선되어, 출입증의 무단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고 출입게이트 차량 대기시간도 크게 단축되었으며, 단일 출입증으로 부산, 인천, 여수.광양의 항만출입도 가능해 졌다.


이와함께 항만순찰차량이 항내에 출입한 차량 및 인원을 확인할 때 종이출입증을 육안으로 확인하던 것을 순찰형리더기를 이용하여 출입정보를 저장하여 항만내 질서유지 및 항만보안 업무도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울산항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UPA관계자는 “한달간의 시범운영 기간을 거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 간 만큼 출입체계 개선을 통한 첫날 혼잡은 없었으며, 아직 전자출입증을 발급하지 않은 많은 이용자들은 출입증 신청 홈페이지(pass.upa.or.kr)에서신청하면 된다”고 밝혔다.

뉴스울산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