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야생 동.식물 보호 세부 계획’수립

계획 기간 2012년 ~ 2016년 … 8개 분야 20개 단위 사업 사업비는 총 42억5600만 원이 투입


 울산시는 ‘야생 동.식물과 인간이 함께 어우러진 건강한 자연 생태계 조성’을 정책 목표로 하는 ‘야생 동.식물 보호 세부 계획’을 수립, 4월 26일 고시했다.
 
 계획을 보면 사업 기간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이며 8개 분야, 20개 단위사업으로 짜였다.
 
사업비는 총 42억5600만 원이 투입된다.
 
분야별 주요 단위 사업을 보면 울산시 자연환경 조사, 도시형 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제작, 야생동물 모니터링, 야생 동.식물 생태경관 보전지역 지정.관리 등의 과제가 추진된다.
 
또한 야생 동물 구조관리센터 운영, 겨울철 야생 동물 먹이 주기, 까마귀 인식전환 대책, 생태계 교란 유해 동식물 퇴치, 꼬리명주나비 등 나비 복원사업, 반딧불이 복원사업 등이 실시된다.
 
이와 함께 야생 동.식물 보호 시민 참여 활성화를 위해 까마귀, 백로 생태학교 운영, 태화강 생태 해설사 운영 활성화, 무제치늪 등 습지 생태탐방 등의 과제가 추진된다.
 
울산시의 야생 동.식물 현황을 보면 식물상은 147과, 599속, 1446종으로 조사됐으며 포유류는 영남알프스 지역을 중심으로 삵, 오소리, 너구리 등 19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는 143종 6만7225개체가 서식하고 있으며 양서 파충류는 12과 18속 28종으로 이 중(28종) 양서류인 맹꽁이(1종), 파충류인 구렁이(1종), 남생이(1종) 등은 멸종 위기종으로 조사됐다.
 
담수 어류의 경우 척과천에 멸종위기종인 잔가시고기 등 20과 50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육상곤충류는 총 13목 124과 650종으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 동.식물의 서식 환경을 보면 ‘울산’이 한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하여 동쪽으로 동해에 접하고 서쪽은 해발 1000m 이상의 영남알프스 고봉 등이 병풍처럼 펼쳐져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생태축이 잘 발달되어 있다.


중점 추진과제





정 책 과 제



세 부 추 진 과 제


야생동,식물 서식실태


조사



○ 울산광역시 자연환경조사


○ 도시형생태현황지도(비오톱지도) 제작


○ 야생동물 모니터링 추진


야생동,식물 보호구역


지정 관리



○ 태화강 하류 람사르습지 등록


○ 야생동,식물 보호구역 지정,관리


○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관리


야생동,식물 보호 강화



○ 야생동물 구조관리센터 운영


○ 밀렵,밀거래 방지대책 및 겨울철 야생동물 먹이주기


○ 생물다양성 관리계약 사업추진


○ 까마귀 인식전환 대책 추진


야생동,식물 관리 강화



○ 생태계교란 유해동,식물 퇴치


○ 멧돼지 등 유해야생동물 관리


멸종위기종 등


증식,복원 확대



○ 꼬리명주나비 등 나비 복원사업 추진


○ 반딧불이 복원사업 추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관리



○ 깽깽이풀, 순채, 수달, 잔가시고기, 귀이빨대칭이 등


市 보호야생동,식물


지정,관리



○ 울산광역시 보호야생동,식물 지정,관리(49종)


야생동,식물 보호 시민


참여 활성화 및 홍보강화



○ 까마귀,백로 생태학교 운영


○ 태화강 생태해설사 운영 활성화


○ 무제치늪 등 습지 생태탐방

김명종 기자 (nu_kmy@nunnews.kr)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