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울산공장’이 그린팩토리로 변신한다.
국내 최초 해중합 공정을 갖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시설 설치 친환경 사업 확대・협력을 통해 자원 선순환 시장 선도

울산시는 4월 9일 시청 오후 2시 본관 7층 상황실에서 롯데케미칼㈜과 친환경 플라스틱 재활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오는 2024년까지 울산2공장(남구 용연로 184)에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11만 톤 규모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공장을 신설한다. 울산시는 인허가 등 행정적 지원을 적극 협조할 계획이다.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는 폐 페트(PET)를 화학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로 생산한다. 폐 페트(PET)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정제한 원료 물질을 다시 중합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가 만들어진다. 기존에 기계적으로 재활용되기 어렵던 유색 및 저품질 폐 페트(PET)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활용에도 품질 저하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롯데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폐 페트(PET) 분쇄조각(Flake)을 연간 5만 톤까지 처리할 수 있는 ‘해중합 공장’을 신설하고, 해중합된 단량체(BHET)를 다시 페트(PET)로 중합하는 11만 톤 규모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 설비’를 2024년까지 구축과 동시에 양산 판매할 예정이다.
이후 해중합 및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시설 신증설을 통해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사업을 26만 톤으로 확장하고, 오는 2030년까지 기존 울산 페트(PET) 공장을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공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이사는 “롯데케미칼은 이번에 발표한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 계획 외에도 재생폴리프로필렌(PCR-PP), 바이오페트, 플라스틱리사이클 사업 추가 확대 등 친환경 사업영역을 본격 확장할 예정이다.”면서 “이와 함께 글로벌 1위 고순도이소프탈산(PIA) 제품의 신규용도 개발 등을 통한 소재일류화 강화로 울산공장의 부가가치 확대 역시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울산에서 친환경 사업의 새로운 장을 열며 울산시민을 우선 고용하겠고 발표한 롯데케미칼측에 감사드린다.”고 밝히고, “향후 울산을 거점으로 다양한 친환경 전략사업을 추진해 상호 협력하며 상생 발전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