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의원, ‘이지원’ 삭제항목 무려 94개

2007년말 e지원 준공검사 확인서에서 확인

김기현 의원, ‘이지원’ 삭제항목 무려 94개

노무현 정부 말기에 구축한 이지원 시스템이 당초보다 훨씬 많은 삭제항목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김기현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울산 남구 을)이 11일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e지원 기록물보호체계 구축 사업 준공검사확인서>에 따르면, e지원시스템 초기화 기능 등 총 94개 항목에 대해 삭제가 가능하도록 S/W기능을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기능점수 세부내역에서 삭제가능한 시스템 기능별로는 ▲재분류된 기록물을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 기능 7개 ▲지정 지시사항 이관 기능 3개 ▲비밀 및 지정기록 관리 기능 5개 ▲청와대 인계인수 기능 개선 기능 7개 ▲차기 청와대가 사용할 수 있도록 e지원시스템 초기화 기능 60개 ▲참여정부 업무자료시스템 구축 기능 1개 ▲국정관리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기능 1개 ▲e지원 기능개선 기능 10개 등 총 94개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기록/지정기록/비밀기록에 대한 인계관리 기능도 삭제할 수 있도록 했으며, 비밀관리대장, 비밀이력관리, 지정기록이력관리 등에 대해서도 삭제할 수 있으며 심지어 대통령말씀도 삭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기현 의원은 “당시 참여정부 관계자들은 이지원에 대한 삭제기능이 없다 있다 등 오락가락 했지만 사실상 이지원 삭제기능이 무려 94개 항목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차기정부에 인계인수체계를 갖추고 차기정부에서 업무자료를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왜 삭제기능을 만들었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왕근 기자 newsulsan@hanmail.net

뉴스울산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