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구축한 이지원에 이미 업무자료 인수인계 구축 !
19억 5천만원들여 2006.12.31.구축 완료, 중복성 의심 가능 김기현 의원 “중복성 우려 있으면서도 강행 다른 의도 의심”

노무현 정부 말기에 구축한 이지원 시스템 구축사업 이전에 이미 2차례에 걸쳐 차기정권으로 인계하는 기능을 구축하기 위한 사업을 실시한 것으로 드러나 그 배경에 의문이 제기된다.
새누리당 김기현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울산 남구 을)이 16일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06년도 전자정부지원사업 e지원 업무환류시스템 구축완료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노무현 정부에서 작성된 업무자료를 차기 정권으로 인계하는 기능을 구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1월 5일 작성된 동 완료보고서에서 사업의 목표를 2006년 5월 8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정부출연금 19억 5천만원을 들여 정책 전과정을 관리하는 업무환류체계의 완성을 추진하고 참여정부의 업무자료를 인수인계할 수 있는 체계를 조기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사업으로 인해 구축된 정권 업무자료 인수인계체계 구축 내용은 ▲단위과제 목록조회기능 ▲인수인계서 작성기능 ▲인수요청 기능 ▲인수확인 기능 ▲분류체계 이관기능 ▲업무자료 목록 조회 기능 ▲과제 조회 기능 등 30가지 기능이 탑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업무자료 인수인계체계 구축사업의 중복성은 2007년 8월 –12월 구축한 <이지원 기록물보호체계 구축사업 검토의견서>에서도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사업계획 검토의견서에는 “청와대 인수인계 체계 구축‘이 이전 사업과의 중복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세부 사업명칭 수정이 필요하다”면서 “이지원 업무환류시스템 구축사업(’06.5-12)과 비서실 자체사업으로 ‘이지원을 통한 청와대 인계인수시스템 구축사업’(‘07.3-6)을 추진한 바 있다”고 밝혔다.
김기현 의원은 “노무현 정부는 업무자료를 차지정권으로 인계하는 기능을 구축하기 위해 무려 3차례에 걸쳐 이지원을 구축하고 보완하면서 2006년말 당초 53개 삭제기능을 2007년말에는 e지원시스템 초기화 기능 60개 등 94항목으로 확대했다”면서 “노무현 정부 말기에 이렇게 중복된 사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배경에 의문이 제기되는 만큼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왕근 기자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