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알프스’사업 본격 착수

10대 선도프로젝트 선정, 오는 2013년까지 추진


  ‘영남 알프스 산악관광 마스터플랜’의 1단계 사업으로 10대 선도프로젝트가 선정됐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2월 9일 오후 2시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오동호 행정부시장 주재로 ‘영남알프스 산악관광 마스터플랜 추진협의회(제1회)’를 개최하고 산악관광 활성화를 위해 1단계(2011~2013)로 추진할 ‘10대 선도 프로젝트’를 선정,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앞서 울산시와 군은 지난해 12월 28일, 영남알프스 산악관광 마스터플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오동호 행정부시장을 의장으로, 시의 관광과를 비롯한 6개 과와 군의 문화관광과를 비롯한 7개 과 등 총 13개 과(과장)가 참여하는 ‘실무 추진협의회’를 구성했었다.
 
‘1단계 10대 선도 프로젝트’는 환경 및 경관 복구를 위한 사업과 탐방객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관광 인프라 구축 및 영남 알프스를 대외적으로 널리 홍보하여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한 사업이 우선 반영됐다.
 
세부 사업을 보면 ▲영남알프스 통합관광안내체계 구축(홈페이지 제작, 관광안내표지판 정비, CI & BI 제작, 웰컴센터 건립) ▲하늘 억새길 조성 ▲영남알프스 탐방로 및 두름길(가칭) 조성 ▲신불산 케이블카 도입
 
▲작수천 명소화 사업 ▲석남사 수변공원 조성 ▲KTX~영남 알프스간 연계 교통망 구축(산악 셔틀버스 운행, 시티투어 운행노선 확대, 탐방 자전거 대여소 운영, 대중교통 연계체계 구축) ▲영남 알프스 숙박시설 인프라 구축(등억 숙박시설 양성화, 등억휴양소 건립) ▲영남알프스 마운틴 탑 페스티벌(산악레포츠 축제) ▲영남 알프스 알리기 사업(홍보 방송 제작, 숲속의 음악회 개최, 전국 산악 리더스 포럼 개최 등) 등이다.
 
울산시는 이번 선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시.군 담당 부서별로 세부추진계획을 수립(3월)하고, 사업별 관리카드를 작성하여 매월 추진 사항을 점검하는 한편,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추진상황 보고회를 개최하여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677억원(공공 358, 민간 319) 정도가 소요될 예정이다.


울산시는 핵심 선도사업인 하늘 억새길 및 영남 알프스 두름길 사업은 중앙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국비지원사업을 지속 발굴해 나갈 예정이며, 향후 사업별로 지역주민 및 관련업체, 민간단체 등과의 공동 사업도 적극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울산시는 선도 사업이 완료되는 2013년에는 울산 최대의 산악관광 지역인 영남 알프스가 동남권 최대의 산악관광 1번지(마운틴 탑, 영남알프스)로 자리매김하게 강동, 서생 해안관광지역과 연계된 체류형 관광의 거점 지역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영남 알프스 산악관광 마스터플랜’은 4대 추진전략 28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3단계로 나눠 10년간 추진하게 된다.


10대 선도 프로젝트 추진계획(안)


□ 선정 기준


○ 최근 관광트렌드와 정책동향을 감안, 친환경 체험프로그램 도입및 정부지원이 가능한 사업


○ 전국적인 인지도 제고, 체계적인 안내체계 구축 등 소규모 예산으로 사업 파급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업


○ 기존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자유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공공 기반시설의 선도 확충 사업


○ KTX 개통에 따른 외지관광객 유입효과를 극대화하고, 체류형 관광거점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


○ 기본합의서에 명시된 환경 및 경관 복구, 방문객 탐방편의 및 만족도 제고,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사업 우선 반영


 


□ 사업추진방안


○ 영남알프스 마스터플랜에 제시된 단계별 계획에 따라 사업 추진하되, 10대 선도 프로젝트 사업은 중점 관리


○ 정부와 연계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은 적극 반영, 국비 확보 추진


○ 하늘억새길, 영남알프스 두름길 등 길 조성사업은 중앙부처 및 언론기관과 연계를 통해 사업효과 극대화


※ 2011. 2월, 행정안전부 ‘친환경생활공간 조성사업’에 반영 추진


※ 2011. 2월, 영남알프스 둘레길 조성관련, 언론기관 협조


□ 10대 선도 프로젝트 선정(안)





선도 프로젝트명



주요 사업내용



사업비


(백만원)


01. 영남알프스 통합관광안내체계 구축



14,713


 



①홈페이지 구축



디지털 관광환경 구축



100


 



②관광안내표지판 정비 확충



관광지, 등산로 등 안내체계구축



73


 



③CI & BI 개발



영남알프스 이미지 통합



100


 



④웰컴센터 건립



종합관광안내 및 편의시설 구축


웰컴센터, 간월산장 정비, 수변공원



14,440


02. 하늘억새길 조성



3,300


 



①억새 군락지 생태복원



훼손 군락 복구, 생육 강화



미정


 



②테마로드 및 포토존 조성



연장 21㎞



3,300


03. 영남알프스 두름길(가칭) 조성



-


 



①생태문화탐방로 조성



11개 코스, 연장 200㎞



미정


 



②두름길(가칭) 조성



안내, 해설, 편의, 주민지원사업


부산지역언론 기획보도 연재 중



미정


04. 신불산 케이블카 도입(민간)



31,987


 



①산악케이블카 건립



상하부 정거장, 선로, 하늘정원 등



31,987


 



②공룡능선 연계체계 구축



신불공룡능선과 신불평원 연계


-흔들다리 설치 등 검토



미정


05. 작수천 명소화사업



 



2,923


 



①작수천 하상 및 주변정비



하상 및 주변정비



50


 



②수변야영장 등 친수공간조성



수변야영장 및 수변공원, 탐방로조성



2,286


 



③작천정 주변 정비



음식점 정비 등 주변정비



587


06. 석남사 수변공원 조성



하상 및 주변정비, 수변야영장 설치



5,370


07. KTX~영남알프스간 연계교통망 구축



600


 



①산악 셔틀버스 운행



4개 권역을 연계하는 2개 노선 운영


산악 외곽루트(등억온천), 내륙루트(배내골)



600


 



②시티투어 운행노선 확대



권역별 투어프로그램 확대


복합웰컴센터, 케이블카, 하늘억새길 등 연계



-


 



③탐방 자전거 대여소 운영



KTX역사내 자전거 대여소 운영



미정


 



④대중교통 연계체계 구축



시내버스 증차, 산악택시(짚) 운행 등



미정


08. 영남알프스 숙박시설 인프라 확충



8,078


 



①등억온천 숙박시설 양성화



노후된 숙박시설의 개보수 여건 마련


굿스테이, 게스트하우스, 베니키아 등 지정 유도



-


 



②등억휴양소 건립



가족 및 단체 대상 숙박시설



8,078


09. 영남알프스 마운틴 탑 페스티벌 개최



10월 개최, 방송사 연계


등반.산악자전거.패러글라이딩 등 산악레포츠 대전



600


10. 영남알프스 알리기사업



방송 제작, 방영(영남알프스 사계)


방송 연예프로그램 유치 등 포함


숲속의 작은 음악회(릴레이 콘서트)


전국 산악 리더스포럼(가칭) 운영



200


합 계



공공 35,784, 민간 31,987



67,771


□ 향후 추진계획


○ 2. 28 : 사업별 관리카드 작성 제출(담당 부서별)


○ 3. 16 : 세부 추진계획 제출(담당부서별)


○ 3월중 : 국내 선진사례 시찰(지리산 둘레, 제주도 올레 등)


- 담당부서별로 선진사례 시찰계획 수립하여 시행, 보고서 제출


○ 3월 ~ 5월 : 사업추진을 위한 사전 행정절차 이행


- 중기재정, 투융자심사, 추경 예산 편성 등(선도사업)


○ 6월중 : 제2회 추진협의회 개최(성과보고회)


- 추진성과 보고, 추진상 문제점을 보고하여 사업 조정, 하반기 추진계획 수립


○ 7월중 : 관광안내표지판 정비확충 완료


○ 8월중 : 제4회 릴레이 콘서트 - 숲속 작음 음악회 개최


○ 10월중 : 영남알프스 마운틴 탑 페스티벌 개최


○ 10월중 : 영남알프스 추진협의회 개최(3회, ‘12년 업무추진계획)


○ 11월중 : 영남알프스 홈페이지 구축 완료


○ 12월중 : 영남알프스 홍보 방송 방영



 

뉴스울산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