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이 여인에게만 돌을 던지랴!

누가 이 여인에게만 돌을 던지랴!

 신경숙 표절 논란을 한마디로 뭉뚱그리자면 장래가 촉망되는 한 사람의 젊은 작가를 문단권력의


공고한 토치카인 창비가 오도된 길로 이끌었다, 고 정리하고 싶다.


결과적으로 언젠가는 터져 나와야 할 미봉해온 고질병이 또 다시 불거진 것이다.


고질병은 표절만이 아니다.


기득권을 틀어 쥐고 있는  문단의 공고한 기득권 카르텔의 우리끼리 띄워 주고 밀어주는 주례사


비평과 허명의 확대 재생산은 정치판보다 도리어 더 정치적이다.


 


일부 시인작가들의 명망가 의식과 중독증도 도를 넘었다. 오로지 이름 나는 데 목숨거는 부류들이


많아도 너무 많다.


머릿수를 쥔 자가 권력을  잡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문단 또한 머릿수 권력이니 문단 권력을 잡기


위해 국민의 혈세로 조성된 국고 보조를 받아 변별력없는 문학 단체들을 만들고 문예지들을 남발


하고 신인을 쏟아내고 받으나마나한 문학상들을 제정해 씨줄날줄을 짠다.


 


여간 좀 쓴다 해도 무연고자로선 서울의  소위 아는 사람 없으면 중앙문예지에 작품


한편 올리는 것도 백골난망이다. 디지털 시대에 문학만은 왜 그렇게 구태가 줄줄 흘러야 하는지


작품의 상단에 이메일만 한줄 올려도 좋은 작가 엄선해 문예지들이 실어주는 시스템 도입은 왜


안 되는지는 곧 문단 내 파워 형성에 답이 있을 것이다.


21세기에도  남의 허리춤 잡고 사정해야 한 두 줄 실어주는 아날로그  방식의 보부상 문학이다.




소통소통하지만 시인작가들이 독자를 무시하니 독자들도 시인작가를 무시하는 난독증도 점입


가경. 그들만의 리그와 그들만의 소통으로 연명하고 있는 문학이 정치의 혼돈상과 난맥상에 걸핏


하면 종 주먹을 들이대지만 이제 그 손가락질 방향을  자신들에게로 향하라는 것이 독자들의 준엄


한 요구다. 신경숙 논란을 계기로  환부를 파헤쳐 뜯어고치는 일대 개혁을 바란다.


 


윤동주, 한용운, 이육사 같은 기라성같은 선배 문학인들을 기리는 문학상을 제정하고 문학 애호가


들을 끌어 모아 축제를 열고 있다. 하지만 정작 문단 선배들의 고결한 정신과 정실의 배격, 비타협


정신을 이어받는 덴  관심조차 없다.


그들만의 리그를 우물 안 개구리처럼 답습해오고 있는 지역문단도 오십보 백보. 창작에 혼신을


기울이기보다 선거에 관심이 더 지대하다.


 


표절도 문제고 더 큰 문제는 솔직하게 시인하지 못하는 작가로서의 양심의 문제지만  돈맛에 길든


출판 재벌이 제법 대중에 먹혀드는 신경숙이라는 돈줄을 붙잡고 끝도 없이 죄고 신작을 압박하고


문학상 심사권 등 당근을 주며 채근했을 것이다.


그러니 스케줄에 쫓긴 작가가 엉덩이 진드근하게 붙이고 숙성된 작품을  쓰기 어려웠을 테고  돌파


구를 찾기 위해 유수의 일본 소설가의 작품을 펼쳤을 것이고 한 토막 슬쩍했을 것이다.


굳이 신경숙을 위한 변명을 하자면 집 한 채 짓는데 남의 모퉁잇돌 하나 슬쩍해 괴어놓았다고 너


앞으로 건축업 손 떼라는 건 좀 과하다.


 


대중의 실망과 이응준 작가 등 문단 일각의 문제 제기는 분명 만시지탄의 이유가 있지만 말이다.


한국적 현상인 몰매에는 다분히 대중들의 가학적 감정이 실려 있다.




문단 대선배인 조정래 씨의 ‘실력이 없으면 그만두라’는 눈 부라림은 태백산맥 이후 이념적 린치


에 시달렸던 자신이 당한 린치를 복기해본다면 궁지에 몰린 후배작가에게 매몰차게할 수 있는 말


이 아니다.


혹시 조정래 성향에 비추어 왜색작품 표절에 대한 적대라면 도둑질하는 팔을 잘라버리는 함무라


비 법전의 관용 없는 사회 주장과 무엇이 다른가. 왜 문학판 만은 집행 유예가 적용되지 못하는가.


이러면서도 작품 속에서 인간에 대한 무한 애정을 말할 수 있는가.  자신이 보기에 뼈대 없는 대중


추수주의 문학을 곱게 보아오지 않은 심경의 일단을 드러낸 것 이라면 신경숙을 좋아하는 한 사람


의 독자로서 유감이다.


 


신경숙 문학의 주조인 휴머니티와 인간구원이 수렁에 빠진 그를 구제하는 지푸라기가 돼야 한다.


정작 ‘엄마를 부탁해’ 같은 대중에 알려진 작품보다 TV문학관 극본 ‘새야 새야’ ‘외딴 방’ 등 주옥


같은 작품들을 도매금으로 내다버리는 것은 지리멸렬의 한국 문단으로선 적지 않은 손실이다.
 


문학인들이 익히 문단 내외의  구태의연한 난맥상을 다 알면서도 문단 권력의 비위를 거슬려 혹시


자신에게 피해나 오지않을까 쉬쉬해온터에 문제가 백일하에 불거지니 불현 듯 자다가 일어나 남의


봉창 뜯듯 해서는 안 된다.


 


신경숙 개인의 문제만은 아니다. 신경숙의 소설은 일정 기간의 근신과 숙성을 통해  새로이 거듭나


야  한다.


사람을 폐기 처분하기보다  이러한 몰 풍정에 이르게 된 대한민국 문단의 구태의연한 시스템부터


확 뜯어 고치는 것이 급선무다.


 



뉴스울산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