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체 자가발전설비 10년새 3분의 1줄어”
이채익 “에너지 다소비업체 자가발전기 단계적 의무화해야..”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자가발전과 같은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는 정책 제안이 나왔지만, 기업체의
자가발전 설비용량은 지난 10년간 오히려 3분의 1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이채익 의원이 제시한 상용자가발전업체 조사자료에 따르면 2003년 상용자가발전 설비용량은 5천980㎿에 달했으나 2012년에는 4천44㎿로 32.4% 감소했다.
자가발전량도 2003년 2만9천900GWh에서 2012년 2만1천628GWh로 27.7% 줄었다. 우리나라 총발전량 대비 자가발전량 점유율도 2003년에는 8.6%까지 올라갔으나 2012년에는 4.1%로 떨어졌다.
상용자가발전이란 전기를 생산해 판매할 목적이 아니라 스스로 소비하기 위해 발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주로 전력 다소비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으로 국내 상용자가발전기 보유업체는 103곳이다.
상용자가발전업체의 설비이용률도 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12년 설비이용률은 61.1%로 2011년(61.9%)보다 떨어졌다. 이들 업체의 자가발전 비중도 2003년엔 57.9%였으나 2012년에는 35.8%로 낮아졌다.
반면 지난달 민관워킹그룹이 제안한 2차 에너지기본계획 초안에서는 자가발전·집단에너지 같은 분산형 전원을 현재 5%에서 15%로 확대하겠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그러나 현실은 자가발전 설비용량이 줄어드는 추세여서 특단의 대책 없이는 분산형 전원 확대 정책의 실천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이채익 의원은 “업종별 특성을 감안해 단계적으로라도 자가발전기 구축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왕근 기자 newsulsan@hanmail.net
저작권자 ⓒ 뉴스울산(nunnews.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